💡문제
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.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, 최대 600,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.
이 편집기에는 '커서'라는 것이 있는데, 커서는 문장의 맨 앞(첫 번째 문자의 왼쪽), 문장의 맨 뒤(마지막 문자의 오른쪽),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(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)에 위치할 수 있다.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,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+1가지 경우가 있다.
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L |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|
D |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) |
B |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,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 |
P $ | $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|
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,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,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.
| 입력
첫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,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만 주어진다.
| 출력
첫째 줄에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출력한다.
✏️ 내 풀이
import sys
#문자열 입력
left_stack=list(sys.stdin.readline())
right_stack=[]
#명령어 개수
m=int(input())
for _ in range(m):
command=sys.stdin.readline().split()
print(left_stack)
print(right_stack)
if command[0]=='P':
right_stack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=='L':
if len(left_stack)!=0:
right_stack.insert(0,left_stack[-1])
left_stack.pop()
else:
continue
elif command[0]=='D':
if len(right_stack)!=0:
left_stack.append(right_stack[-1])
right_stack.pop()
elif command[0]=='B':
if len(left_stack)!=0:
left_stack.pop()
print(''.join(left_stack + list(reversed(right_stack))))
맨 처음에는 어떻게 풀어야할지 막막했다. 리스트 하나하나 다 해서 풀수있을거 같았지만 그렇게 하면 시간복잡도 문제가 발생할거같았다. 그래서, gpt에게 힌트 제공을 부탁했다..ㅎㅎㅎ
그랬더니 두개의 리스트를 사용하라고 해서 참고를 해서 풀었는데.. 틀렸다 뭐가 문제였을까
🥲 오답
#문자열 입력
#left_stack=list(sys.stdin.readline())
left_stack=lis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
이렇게 해줘야한다 sys.stdin.readline()의 경우 "\n"이 되기 때문에 strip을 해줘야한다
elif command[0]=='L':
if len(left_stack)!=0:
right_stack.insert(0,left_stack[-1])
left_stack.pop()
else:
continue
#이럴 필요없이
elif command=='L' and left_stack:
right_stack.append(left_stack.pop())
이번에 안 사실인데 insert의 경우 시간복잡도가 크기 때문에 안쓰는게 좋다고 한다 그리고 굳이 길이로 체크하는거보다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다..!
왜 자꾸..저 방법을 쓰는거지????????
if command[0]=='P':
right_stack.append(command[1])
이게 아니고
if command[0]=='P':
left_stack.append(command[1])
right로 이동하면 커서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는 사실을 몰랐다...
💯 정답
import sys
#문자열 입력
left_stack=list(sys.stdin.readline().strip())
right_stack=[]
#명령어 개수
m=int(input())
for _ in range(m):
command=sys.stdin.readline().split()
if command[0]=='P':
left_stack.append(command[1])
elif command[0]=='L' and left_stack:
right_stack.append(left_stack.pop())
elif command[0]=='D' and right_stack:
left_stack.append(right_stack.pop())
elif command[0]=='B' and left_stack:
if len(left_stack)!=0:
left_stack.pop()
print(''.join(left_stack + list(reversed(right_stack))))
github 정리하고 오픽하느라 정신이없어서 어제 푼거도 못올렸다...주말에 올려야지...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Lv 2. 다리를 지나는 트럭 (0) | 2025.03.11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Lv 2. 기능개발 (0) | 2025.03.09 |
프로그래머스 Lv1. 같은 숫자는 싫어 (0) | 2025.03.09 |
스택과 큐 (0) | 2025.03.03 |
백준 9012. 괄호 (0) | 2025.03.03 |